IT/mac 10

안드로이드와 macOS에서 Syncthing + Logseq 동기화 설정 방법

개요Syncthing은 중앙 서버 없이 로컬 장치 간 파일을 자동으로 동기화해주는 오픈소스 도구입니다.이번 글에서는 macOS와 안드로이드 간에 Syncthing을 사용해 Logseq 데이터를 자동으로 동기화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1. Syncthing 개념 이해Syncthing은 다음과 같은 구조로 작동합니다.P2P 방식: 클라우드 서버를 거치지 않고, 장치 간 직접 연결자동 동기화: 파일 변경 즉시 감지 및 전송보안 연결: TLS 기반 암호화 통신, Device ID를 통한 승인된 장치만 연결 가능즉, 같은 네트워크가 아니더라도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언제든 파일을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2. macOS에서 Syncthing 설치 및 실행1) 설치Homebrew를 이용해 Syncthing을..

IT/mac 2025.10.11

macOS에서 DB로 방화벽 관리하기

macOS에는 기본적으로 pf(Packet Filter)라는 방화벽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PostgreSQL(15432 포트)과 SSH(22 포트)의 접속을 특정 IP만 허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습니다. 특히 IP 리스트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면, 서버 관리 효율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1. FastAPI를 통한 pf 규칙 적용아래 코드는 FastAPI에서 /apply_ips API를 호출했을 때 DB에서 허용 IP를 조회하고, pf 규칙을 갱신하는 예제입니다.@router.get("/apply_ips")def apply_ips(user: str = Depends(get_current_user)): print("Apply IPs Called") # ✅ DB에서..

IT/mac 2025.09.21

맥 화면 공유(VNC)에서 클립보드 복사/붙여넣기 문제 해결 방법

맥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화면 공유(VNC)를 이용해 원격 맥에 접속할 때, 텍스트 복사/붙여넣기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예전에는 원격 맥에서 복사한 내용을 로컬 맥에서 바로 붙여넣을 수 있었는데, 새 컴퓨터로 바꾸고 나니 클립보드 가져오기 버튼을 눌러야만 동작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이 문제는 공유 클립보드(Universal Clipboard) 기능을 활성화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증상원격 맥에서 텍스트를 복사한 후 로컬 맥에서 붙여넣기가 되지 않음화면 공유 앱 내에서 클립보드 가져오기를 눌러야만 동작함예전 맥에서는 ⌘C → ⌘V로 바로 사용 가능했음원인macOS 버전 변화 및 기본 설정 차이로 인해 화면 공유 앱에서 자동 클립보드 동기화가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이때, ..

IT/mac 2025.09.07

맥에서 Dock 자동 숨기기 문제 해결 방법

맥에서 Dock을 자동 숨기기로 설정했는데, 커서를 화면 하단에 가져가도 Dock이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는 종종 macOS의 Dock 프로세스가 일시적으로 오작동할 때 생깁니다. 처음 이런 현상이 생기면 내가 새로운 방법으로 업데이트가 된건 아닌가 하고 한참을 다른 방법을 시도 했었습니다.하지만 시간 낭비일 뿐이 였어요.문제 증상Dock 자동 숨기기 설정이 되어 있음커서를 화면 하단(또는 Dock이 위치한 곳)으로 가져가도 Dock이 나타나지 않음시스템 설정을 껐다 켜도 변화 없음해결 방법아래 방법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1. Dock 프로세스 재시작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killall Dock이 명령어는 Dock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고 자동으로 ..

IT/mac 2025.07.26

[맥] 기본 연결 프로그램 변경

기본 퀵플레이어가 mkv를 재생할 수가 없어서 프로그램을 설치했더니 기본 프로그램으로 지정이 되어 파일 선택 시 해당 프로그램으로 연결이 되었다. 그래서 맥의 기본 연결 프로그램 변경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먼저 파일에서 우클릭으로 정보가져오기를 선택한다. 이후 다음으로 열기에서 기본으로 지정할 프로그램을 선택한 후 모두 변경을 해준다.이후에는 선택한 프로그램이 기본프로그램으로 지정되게 된다.

IT/mac 2024.11.30

[맥] 원격에서 한영 전환 문제

command + space로 한영 전환을 사용했었는데 왜 그런지 원격으로 접속을 하면 이게 전환이 잘되지가 않았습니다.원격지원 로컬 모두 탭키로 한영을 전환하도록 했더니 한영 전환으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나의 경우 로컬과 원격지의 OS버전이 달라 설정하는 방법이 달랐는데 본인의 OS버전에 맞는 설정을 참고 하면됩니다.옛날 버젼 설정최근 버전 설정

IT/mac 2024.11.18

[맥] 영상 코덱정보(포맷) 확인 확인하는 방법

영상이 어떤 코덱으로 인코딩 되었는지 확인하고 싶을 때가 있다.그럴 때 맥에서는 간편하게 기본프로그램이 확인이 가능하다.퀵타임 플레이어를 실행해 준다.영상을 불러온 후 (만약 영상을 인식할 수 없더라도 오디오만 불러온 상태에서도 확인 가능) 윈도우> 영화정보를 선택해 준다.아래처럼 영상과 오디오 포맷을 확인할 수 있다.

IT/mac 2024.07.15

맥os 맥어드레스 확인 방법

맥어드레스는 컴퓨터나 기기가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사용되는 고유한 식별자다. 주로 16진수로 나타내는데, 여덟 자리의 숫자와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보통 콜론(:)이나 대시(-)로 나뉘어져 표현된다. 예를 들면, 00:1A:2B:3C:4D:5E 같은 식이다. 처음 세 자리는 장치를 만든 회사를 나타내고, 나머지는 그 회사에서 할당한 고유한 값이다. 일반적으로 맥어드레스는 고정돼 있지만, 몇몇 기기에서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바꿀 수도 있다. 맥os 맥어드레스에서 확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시스템 설정->Wi-Fi->고급

IT/mac 2024.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