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된 버젼 확인
#rpm -pa vnc
//설치
#yum install vnc-server
//설정 파일
/etc/sysconfig/vncserver
VNCSERVERS="1:userid" #userid 대신 로그인할 아이디 입력
VNCSERVERARGS[1]="-geometry 1024x768 -nohttpd"
위 두줄 1을 동일하게 맞춰준다.
//포트열어줌
iptables -A INPUT -p tcp --dport 5901 -j ACCEPT
//기동
#vncserver
접속이 안될경우 아래를 참조 한다.
인용 ----------------------------------------------
1) 방화벽 확인
iptables 등 방화벽에 해당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합니다.
아래 명령으로 VNC서버가 사용하는 포트 확인이 가능합니다.
# netstat -nlp | grep vnc
2) X-window 설치 여부 확인
설치가 되지 않았을 경우 아래와 같이 설치를 해줍니다.
# yum groupinstall 'X Window System'
3) GUI 방식 설치
설치가 되지 않았을 경우 아래와 같이 설치를 해줍니다.
KDE 설치
# yum groupinstall "KDE (K Desktop Environment)"
GNOME 설치
# yum groupinstall "GNOME Desktop Environment"
4) 접속시 검은 바탕화면에 마우스 포인트만 보일 경우
/etc/sysconfig/vncserver 파일의 퍼미션을 변경 합니다.
# chmod 777 /etc/sysconfig/vncserver [작성] 차동훈 (http://system.neulwon.com)
참고:http://yagi815.tistory.com/665?srchid=BR1http%3A%2F%2Fyagi815.tistory.com%2F665